강사 | 편민수(K) 노무사 | 학습기간 | 60일 |
반복수강 | 강의시간 3배수 | 강의시간 | 11강 3시간 46분 |
난이도 | 중급 | 수료기준 | 학습시간 60% 이상 |
강의등록일 | 2023-08-01 | 모바일 | 학습가능 모바일 서비스 안내 |
교재 |
근로시간, 임금, 연차휴가 주요이슈 및 근로감독 대응(2023) *교재 선택을 하시면 수강신청시 같이 주문하실 수 있습니다 |
학습목표 | ● 근로시간과 관련된 근로감독 시 주요 이슈사항 이해 ● 임금과 관련된 근로감독 시 주요 이슈사항 이해 ● 노동법상 휴일 및 휴가제도의 특징 이해 및 실무상 주요 이슈사항 학습 |
|
학습대상 | ● 회사에서 직원들의 근로시간 및 휴가, 임금관리를 해야 하는 실무자 ● 주52시간제 시행에 따른 근로시간제도 개선을 고민 중인 담당자 ● 근로감독 대응 방법을 고민중인 인사노무부서 담당자 |
|
학습내용 | ● 중소사업장에 주로 발생하는 근로시간, 임금, 휴가 분쟁사례 및 대응법 소개 ● 최근 변경된 노동부 해석, 판례를 고려한 실무상 유의점 안내 ● 근로시간, 임금 휴가제도 운영/설계과정에서 주요 이슈사항 및 대안 제시 ● 근로감독에 대비한 효과적인 인사노무관리방안을 제시 |
|
[2023]근로시간,임금,연차휴가 주요이슈 및 근로감독 대응 총수강시간 : 3시간 46분 |
차시 | 학습내용 | 수강시간(분) |
---|---|---|
제1강 |
1강 근로시간 제도의 기본 1. 근로시간제도의 이해 2. 휴게시간 3. 시간외(연장, 야간, 휴일)근무에 관한 업무처리방안 4. 임신근로자 근로시간 관리 |
24분 |
제2강 |
2강 주52시간제와 관련 주요 이슈 1. 근로시간 산정 기준2. 근로시간 특례 직무/업종 이해3. 자발적 연장근로에 대한 관리 방안 4. 대기시간 관리 5. 근로시간과 관련된 근로감독 이슈 |
28분 |
제3강 |
3강 임금제도의 기본 1. 임금의 개념과 구별 1. 임금지급의 원칙 (근로감독 및 노동부 진정 사례 중심) |
15분 |
제4강 |
4강 임금제도 주요 이슈(1)- 평균임금, 통상임금 1. 평균임금의 쓰임새 및 주요이슈 (1) 평균임금의 판단 기준 (2) 평균임금과 관련된 근로감독 이슈 1. 통상임금의 쓰임새 및 주요이슈 (1) 통상임금의 판단 기준 (2) 통상임금과 관련된 근로감독 이슈 |
22분 |
제5강 |
5강 임금제도 주요 이슈(2)- 최저임금, 고정OT제 1. 2023년 최저임금 운영 시 유의점 1. 고정OT제 운영 시 유의점 3. 고정OT제와 관련된 근로감독 이슈 |
27분 |
제6강 |
6강 임금제도 주요 이슈(3)- 퇴직급여제도 1. 퇴직급여제도의 종류와 관리유의점 1. 퇴직급여제도와 관련된 근로감독 이슈 |
17분 |
제7강 |
7강 연차휴가제도의 기본 1. 연차휴가제도 개요 2. 연차휴가 부여 기준 (1) 입사일 기준 연차휴가 부여 기준 (2) 회계연도 기준 연차휴가 부여 기준 (3) 케이스별 연차휴가 산정 기준 (최근 개정된 노동부 지침 등 학습) |
27분 |
제8강 |
8강 연차휴가제도 주요 이슈(1) -연차휴가 미사용시 처리방법 1. 연차휴가 미사용 시 처리 방법 (1) 미사용수당 지급 (2) 연차휴가 이월(사용기간 연장) (3) 회계연도 연차 부여시 퇴직시점 정산 방법 |
11분 |
제9강 |
9강 연차휴가제도 주요 이슈(2) -연차휴가 사용촉진방법 1. 연차휴가 촉진 방법 일반 2. 1년 미만 근로자 연차휴가(11일) 촉진 방법 |
17분 |
제10강 |
10강 근로감독 개요 및 유의사항 1. 근로감독의 개요 1. 최근 근로감독 결과 및 경향 분석 1. 2023년 근로감독 유의사항 |
18분 |
제11강 |
11강 근로시간, 임금, 휴가제도 근로감독 대응요령 1. 근로감독 대응 요령(1) 근로시간 관련(2) 임금 관련(3) 휴가제도 관련 1. 근로감독 시 TIP |
20분 |
편민수(K) 노무사 |
|
학력 | ● 성균관대학교 법학과 졸업 |
경력 |
● 한국생산성본부 파트너 교수(현) ● 한국고용노동교육원 객원 교수(현) ●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인사위원회 위원(현) ● 한국고용정보원 인사위원회/감사위원회 위원(전) ● 고용노동부 현장노동청 운영위원(전) |
자격증 | 공인노무사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