강사 | 최혁진(K) 노무사 | 학습기간 | 60일 |
반복수강 | 강의시간 3배수 | 강의시간 | 8강 3시간 27분 |
난이도 | 초급-중급 | 수료기준 | 학습시간 60% 이상 |
강의등록일 | 2023-08-22 | 모바일 | 학습가능 모바일 서비스 안내 |
교재 |
연장/야간/휴일 수당 및 연차수당 계산 실무(2023) *교재 선택을 하시면 수강신청시 같이 주문하실 수 있습니다 |
학습목표 | ● 노무관리에 필요한 각종 수당을 계산할 수 있다. ● 연자/야간/휴일수당 및 연차수당의 기준을 이해한다. |
|
학습대상 | ● 중소기업 인사노무담당자 ● 급여담당자 |
|
학습내용 | ● 실무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계산방법을 교육한다. ● 기존에 잘못 알고 있던 내용을 바로잡는다. |
|
2023 연장/야간/휴일 수당 및 연차수당 계산실무 총수강시간 : 3시간 27분 |
차시 | 학습내용 | 수강시간(분) |
---|---|---|
제1강 |
1강 임금의 이해 ∙ 임금의 정의 ∙ 임금지급의대 원칙 ∙ 금품청산 ∙ 임금지급 및 금품청산관련 쟁점 사항 |
27분 |
제2강 |
2강 최저임금 계산하기 ∙ 최저임금 금액, 적용 제외 ∙ 최저임금 산입범위 ∙ 상여금과 현금성 복리후생비의 포함 방법 ∙ 최저임금지급관련 쟁점 사항 |
27분 |
제3강 |
3강 통상임금의 계산 및 적용 ∙ 통상임금의 정의 및 판단기준 ∙ 통상임금의 적용사유 ∙ 통상임금의 산정방법 ∙ 통상임금 산정기준시간 ∙ 기타 통상임금 관련 쟁점사항 |
27분 |
제4강 |
4강 평균임금의 계산 및 적용 ∙ 평균임금의 정의 및 산정사유 ∙ 평균임금의 계산방법 ∙ 평균임금 산정시 제외되는 기간과 임금 ∙ 평균임금 산정의 구체적 사례 ∙ 기타 평균임금 관련 쟁점사항 |
24분 |
제5강 |
5강 주휴수당 계산하기 ∙ 주휴일 제도의 의의 및 주휴수당 ∙ 주휴수당 지급관련 쟁점 사항 ∙ 주휴일 발생 및 주휴수당 계산 실습 |
27분 |
제6강 |
6강 연장/야간/휴일 수당 계산하기 ∙ 연장근로 및 연장근로수당 ∙ 야간근로 및 야간근로수당 ∙ 휴일근로 및 휴일근로수당 ∙ 연장/야간/휴일 수당관련 구체적 사례 ∙ 기타 연장/야간/휴일 수당관련 쟁점사항 ∙ 연장/야간/휴일 수당 계산 실습 |
28분 |
제7강 |
7강 포괄임금제와 고정O/T제의 설계 및 운영시 유의사항 ∙ 포괄임금제와 고정O/T제의 의미 ∙ 고정O/T제의 운영 및 설계 ∙ 고정O/T제의 운영시 유의사항 |
21분 |
제8강 |
8강 연차휴가 및 연차휴가수당 계산하기 ∙ 연차휴가 부여기준 ∙ 케이스별 연차휴가 산정기준 ∙ 연차휴가와 임금 ∙ 연차휴가미사용수당 계산 실습 |
26분 |
최혁진(K) 노무사 |
|
학력 | ● 한양대학교 사회학과 졸업 |
경력 |
● 한국장애인개발원, 해외문화홍보원, 코오롱글로벌 등 근로기준법 실무 강의 다수 ● 지방공기업평가원 지방공기업 기고(노무강좌) |
자격증 | ● 한국공인노무사 |
저서 | ● 근로시간 단축 및 포스트 코로나시대의 유연근무제 도입 및 활용방안(공저) 등 다수 집필 |